청년저축계좌 조건과 신청방법 보기쉽게 정리했어요
물가가 오르는 만큼 임금이 오르지 않아 청년들은 돈을 모으기가 쉽지 않아졌습니다. 조금이나마 돈을 모으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정부에서 청년저축계좌를 신설하였습니다. 오늘은 청년저축계좌 가 무엇인지, 계좌 개설을 위한 조건과 신청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청년저축계좌란?
청년저축계좌는 정부가 경제활력대책의 일환을 발표한 청년 희망사다리 강화방안에 포함된 정책입니다.
기준중위소득 50% 이하인 청년을 대상으로 매달 10만원씩 3년간 360만원을 저축하면 정부가 총액을 1,440만원으로 불려주는 혜택을 받습니다.
일하는 저소득층 청년이 매달 10만원씩 적금하면 정부가 그의 3배인 30만원을 보태 3년뒤에 돌려준다고 보면 됩니다. 취약청년의 자산 형성 촉진을 도와주는 것이죠.
2. 청년저축계좌 - 조건
꽤나 매력적인 혜택을 받을 수 있는데요, 이 계좌를 개설하려면 일정 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
먼저 청년저축계좌의 지원 대상은 15~39세 사이의 청년 중 차상위 계층 13만여명입니다.
중위소득 50%는 2인기준 월 145만원을 버는 사람들입니다. 2인 이외의 중위소득은 아래 표를 보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준 중위소득은 2019년과 2020년이 비슷하기는 하지만 햇수가 늘어날 수록 소득수준도 늘어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와 비슷한 청년 내일채움공제와 달리 정규직 직장이 아니더라도 아르바이트나 임시직으로 일을 하고 있다면 계좌를 개설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유의사항도 존재합니다. 청년저축계좌와 청년내일채움공제는 중복으로 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
두 가지 정책은 대상이 다릅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는 기업에 정규직으로 취업한 청년을 대상으로 합니다.
청년저축계좌는 안정적이지 않은 일자리인 아르바이트나 임시직, 계약직에서 일하는 저소득층 청년을 대상으로 합니다.
만약에 양쪽 모두 조건에 해당된다면 혜택을 많이 받는 쪽이 어디인지 확인해 보고 한쪽만 선택해야 합니다.
또한 청년저축계좌 정부지원금을 받으려면 충족해야 하는 요건이 있습니다.
- 근로를 꾸준히 해야 함
- 국가공인자격증 취득 (1개 이상)
- 교육 이수 (연1회씩 총 3회)
- 지원금의 50%를 사용한 후 증빙서류 제출이 필요함
보건복지부는 "청년저축계좌는 일하는 차상위계층 청년이 사회에 안착할 수 있도록 목돈 마련을 지원하여 자립을 촉진하는 사업"이라고 했습니다.
"근로 빈곤층 청년이 생계수급자로 하락하는 것을 막고 중산층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라고 계좌 신설에 대해 설명하였습니다.
3. 청년저축계좌 - 신청방법
012
청년 내일채움공제는 2년형과 3년형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2년형은 중소, 중견기업에 취업한 청년이 2년간 300만원(매월 12만 5천원)을 적립하면 정부가 900만원, 기업이 400만원을 공동적립하여 만기시 1600만원이 마련됩니다.
3년형은 3년간 600만원을 적립하면 정부가 1800만원, 기업이 600만원을 공동적립하여 만기시 3000만원이 마련됩니다.
012
청년저축계좌는 복지부에 따르면 작년에 발표한 청년 희망사다리 강화방환의 일환인 정책으로 올해 상반기에 출시될 예정입니다.
현재까지 알려진 바로는 2020년 4월 1일 시행 예정으로 안내되어 있지만 정확한 날짜는 두고봐야 알 것 같습니다.
012
아직 시행 예정인 정책이기 때문에 자세한 시행 방법과 신청방법이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해당 내용은 근로복지공단 블로그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간단히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청년저축계좌는 정부가 경제활력대책의 일환을 발표한 청년 희망사다리 강화방안에 포함된 정책입니다.
기준중위소득 50% 이하인 청년을 대상으로 매달 10만원씩 3년간 360만원을 저축하면 정부가 총액을 1,440만원으로 불려주는 혜택을 받습니다.
012
청년 내일채움공제도 비슷한 방식으로 혜택을 받지만 청년저축계좌와 중복해서 받을 수 없습니다. 그래서 둘 중 어느쪽이 더 혜택이 좋은지 확인하고 한쪽만 선택해야 합니다.
여기까지 청년저축계좌 조건과 신청방법 보기쉽게 정리했습니다. 다른 유용한 정보는 아래에서 볼 수 있습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7등급 신용카드 발급 받는 2가지 방법 (0) | 2020.02.18 |
---|---|
지급명세서 제출기한 최신내용과 가산세 안내 (0) | 2020.02.16 |
국가기간전략산업직종훈련 비용과 절차 완벽정리 (0) | 2020.02.14 |
gs25 통신사 할인 간단정리 (0) | 2020.02.13 |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 인터넷 발급 간단한 방법 (0) | 2020.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