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소득세 계산기 여기서 이용하세요
1년 이상 근무하게 되면 퇴직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 퇴직금에도 세금을 부과하는데요, 오늘은 퇴직 소득세 계산 하는 방법과 계산기 이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퇴직 소득세 계산방법
간단하게 계산하는 방법을 먼저 알고 들어가면 계산기 사용이 쉬운데요, 계산하는 방법을 간단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퇴직 소득세 계산방법 : (퇴직급여 - 퇴직소득공제) x 퇴직소득세율
퇴직급여는 말 그대로 퇴직금이기 때문에 받으시는 금액을 넣으면 됩니다. 퇴직소득공제와 퇴직소득세율은 뭘까요?
1) 퇴직 소득공제란?
퇴직 소득공제는 근속연수에 따라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는 세액을 말합니다.
계산 방법은 [퇴직소득 과세표준 / (근속연수x5)] x [기본세율 x 1/근속연수 x 5] 입니다. 그냥 봐도 복잡해보이니 그렇구나 하고 넘어갑시다.
2) 퇴직소득세율이란?
과세 표준을 구간별로 세율을 나눠놓은 것입니다. 퇴직금이 1200만원 이하면 6%, 1200~4600만원 이하는 72만원 + 1200만원 초과분에 대해 15% 세율을 매깁니다.
2. 퇴직 소득세 계산기 사용방법
위 계산방법을 봐도 계산하기 쉽지 않으실텐데요, 쉽게 계산할 수 있도록 노동부에서는 퇴직 소득세 계산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먼저 퇴직금을 계산한 뒤에 퇴직금 세금 을 계산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고용노동부 홈페이지에 들어갑니다. 검색포털에서 검색하면 쉽게 들어갈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에 접속해서 스크롤을 아래로 내리면 퇴직금 항목을 찾을 수 있습니다.
퇴직금 계산기라고 쓰여있는게 보이시나요? 클릭합니다.
새창의 아래쪽에 보면 퇴직금 계산기 항목이 있습니다.
클릭하면 퇴직후 받을 수 있는 금액을 계산하는 페이지가 뜹니다. 입사일자와 퇴직일자를 입력하고 퇴직전 3개월간의 기본급과 수당, 상여금등을 입력하면 1일당 평균임금과 통상임금이 계산됩니다.
[생활정보] - 퇴직연금 IRP계좌 개설 방법 한눈에 알아봐요
[생활정보] - 퇴직금 미지급 신고방법과 팁 정리했어요
어떻게 계산하는지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퇴직금 계산 예제도 준비되어 있습니다.
퇴직금을 계산하셨으면 이제 퇴직금 세금 계산을 할 수 있습니다.
화면의 오른쪽 하단에 보면 국세청에서 제공하는 계산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는 주소가 링크되어 있습니다.
국세청 프로그램이라고 적혀있는 링크를 클릭하면 여러 게시물들이 나와있는 페이지로 들어가는데요, 검색창에 퇴직 이라고 검색하면 퇴직소득 세액계산 프로그램을 찾을 수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엑셀로 되어있는데요, 사용시 유의사항이 있으니 먼저 읽어보고 계산하시는게 좋겠군요.
엑셀 파일을 열어 인적사항 부터 형식에 맞춰서 입력합니다.
그 이후에 다음 탭의 퇴직소득 원천징수 영수증 에 보면 퇴직금 세금이 자동계산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간단하 정리해 드리자면 퇴직금 세금 계산을 위해서는 퇴직금, 소득공제, 세율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이를 간단히 계산하기 위해 퇴직금 세금 계산기를 이용할 수 있는데요, 국세청 홈페이지에서 양식을 다운 받아 입력하시면 간단하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 퇴직금 세금 계산기 여기서 이용할 수 있게 정리하였습니다.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쏘카 편도 이용방법 바뀐거 알고계셨나요? (0) | 2019.10.30 |
---|---|
내일배움카드 신청방법 및 혜택 간단정리 (0) | 2019.10.29 |
8등급 신용카드 발급 받는 2가지 방법 (0) | 2019.10.25 |
알바비 계산기 최신버전 사용방법 (2) | 2019.10.24 |
주유할인 많이되는 카드 Top3 (0) | 2019.10.24 |